오늘은 광고비를 절약하는 방법 BEST 3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남들이 다 하는 광고&홍보를 굳이 해야할까 ? 광고와 홍보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광고비 절약 방법 BEST 3

 

진정한 홍보 활동


흔히 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개되는 것들이 광고이며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아닌 브랜드와 서비스를 알리기 위한 관계를 형성하는 활동이 홍보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광고는 비용을 지불하고 수익을 얻는 것에 목표를 두고, 홍보는 브랜드를 알리는 것에 목표를 둡니다.



우리는 남들이 다 하는 광고 & 홍보를 해야 합니다.

남들이 다 하는거니까 나는 안할거야 ! 굳이.. ?라는 무책임한 이야기로 .. 



스스로를 위안하면서 소중한 본인의 브랜드와 매장을 방치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온라인에 노출되지 않으면 세상 사람들은 우리 매장이 존재하는지 조차 알지 못하게 됩니다.



남들이 기본적으로 하는 것들은 모두 다 하면서

하나하나의 플랫폼 성질을 이해하면서

온라인 영역을 늘려가야 합니다.





? 개인적으로 어디에 더 힘을 실으면 좋을까요 ?

물론 정답은 없습니다. 



매장의 규모 아이템에 따라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지만,



고객의 관점으로 시각적인 

이끌림이 큰 매장이라면 저는 광고



시각적인 이끌림보다는 인간적인 

매력이 필요한 곳이라면

홍보라고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 : 시간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광고비 절약 방법: 직접관리



대행사가 관리해주는 

시간, 광고업체에서 올려주는 바이럴을 



활용하지 않고 직접 제작하고 

편집하고, 직접 운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비용을

절약 할 수 있지만.. 



반대로 시간을 굉장히 많이 들여야 하는 과정이여서 반복하는 습관을 꾸준히 만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이 전에 교육을 5~6개월 정도 진행 할 때 하루하루 미션을 정하고,  업로드를 체크하고 링크를 공유하고, 

사장님들이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셀프로 마케팅을 90% 정도 진행을 하고 

이벤트가 있는 경우에만 광고비를 1~5% 



미만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매장의 상황에 따라서 결정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특히, 저처럼 1인 ~ 1.5인 매장의 경우 몰리더라도 고객 케어가 불가능하기에

 

셀프마케팅 디테일 홍보 방법


1) 셀프로 릴스, 숏폼 - 손가락만 있으면 가능 

2) 바이럴 이미지  - 미리캔버스 월 10,000원 유료 사용 가능

3) 체험단 - 리뷰노트 무료로 가능 

4) 대형 플랫폼 업체 활용 - 1회 ~ 2회 이용 평균 30 ~44만원 정도

순서를 추천드립니다.



 

30% 이상 효과를 본다면 정답이 없는 영역이지만 개인적으로 인풋 - 아웃풋 30% 정도의 광고대비 구매전환이 이루어진다면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대로 10% 미만이라고 한다면 오히려 효율이 좋은 쪽으로 바꿔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 역시 2호점을 오픈하고 배민,업체,당근,네이버, 공식 플랫폼에 소량으로 현재 일괄적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효과측정을 3개월 정도는 해볼려고합니다.

일주일하고 쏙 빼버리지 마시고 최소 3개월 정도는 흐름을 보시고 통계를 확인해보시고 결정해도 늦지는 않습니다 :)

 

 

광고 마케팅 방법 최종결론

결론은 어떤 걸 홍보하시고 싶은지가 명확해야 합니다.


홍보도 상품으로, 광고도 상품으로만

이야기 한다면, 굳이 소비자 입장에서는 

광고성 글에 피로감을 느껴가면서 .. 

글과 사진과 영상을 볼 필요가 없습니다.



단, 내가 이용하는 매장의 내가 먹는 음식에 내가 먹는 소스에, 내가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를 좀 더 맛있게, 편하게,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방법을 소개해주는 쪽으로 홍보 방향을 살짝만 틀어도 이탈율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가게만 홍보를 하는 것과

상품만 홍보를 하는 것과

그 안에 가치를 담아서 홍보를 하는 것과

같은 홍보지만 분명히 고.객.반.응은 달라집니다!

+ Recent posts